본문 바로가기

멋진 신세계/기타 등등

"산타클로스의 원조" 신터클라스 (Sinterklaas) - 벨기에와 네덜란드 크리스마스 전통

지난 로투스 비스코프 (Lotus Biscoff) 포스팅으로 벨기에와 네덜란드 비스킷인 스페퀼로스 (speculoos)에 대해 알게 되었다. 커피 비스킷으로 유명한 로투스 비스코프가 스페퀼로스다.

 

로투스 비스코프

 

스페퀼로스는 벨기에와 네덜란드의 비스킷으로 주로 신터클라스의 날 (12월 6일) 또는 그 전날 12월 5일 밤에 먹는다. 밀가루, 흑설탕, 버터, 베이킹 소다, 시나몬 등이 주요 재료다.

 

스페퀼로스. 벨기에와 네덜란드 지역에서 크리스마스 즈음에 많이 먹는다. (출처: https://www.discoveringbelgium.com/sinterklaas/)
신타클라스 (Bram van der Vlugt 분) (작가: CrazyPhunk, 출처: Wikimedia Commons)

 

스페퀼로스를 신터클라스의 날에 먹는다고 하니 신터클라스에 급관심이 생긴다. 처음엔 신타클라스가 산타클로스의 맞춤법 오기인가 했다. 그 후엔 벨기에와 네덜란드 지역에서 산타클로스를 그쪽 발음으로 이렇게 부르나 보다 했다. 그런데 그 이상의 뭔가 다른 게 있는 듯 보여 궁금해진다.

 

궁금한 건 못 참겠다. 지금은 크리스마스가 지난 지도 한 달이 넘은 2월 초지만 궁금증은 해결하고 넘어가야 한다. 자료를 더 찾아봤다.

 

우선 발음으로 돌아가서 산타클로스가 아닌, 신터클라스 (Sinterklaas)가 맞다. 이름만 가지고도 유추할 수 있듯 신터클라스와 산타클로스는 둘 다 같은 성 니콜라스 기원으로 하고 있다. 성 니콜라스는 3세기-4세기 동로마 제국에서 활동하였던 대주교로 많은 가난한 사람들을 도와줬다고 한다. 성 니콜라스가 활동했던 곳은 현대의 튀르키예 지역이다. 성 니콜라스의 축일이 12월 6일인데 벨기에와 네덜란드의 신터클라스의 날이 12월 6일인 것이 이해가 된다.

 

산타클로스는 신타클라스의 신대륙 미국식 버전이라고 볼 수 있다. 17세기 현대의 미국 뉴욕 주 포함 북아메리카 대륙으로 이주한 네덜란드 사람들이 신터클라스 전통을 가지고 왔고 이게 변형되어 발전된 형태가 산타클로스다. 미국에서 발전된 산타클로스 전통은 미국식 크리스마스가 전 세계에 퍼지면서 다들 다 아는 그분으로 알려진 거다.

 

산타클로스는 크리스마스 이브 밤에 선물을 주러 전 세계를 날아다니시는데, 신터클라스는 스페인에서 배를 타고 오시기에 좀 더 일찍 크리스마스를 준비한다. 신터클라스가 1년 내내 사는 곳은 스페인이다. 반면, 산타클로스가 사는 곳은 흔히 핀란드, 또는 북극이라고 알려져 있다.

 

네덜란드 전통에 따르면 11월에 스페인에서 배를 타고 출발해 12월 5일-6일에 네덜란드에 도착한다. 네덜란드에 도착한 신터클라스는 하얀 말을 타고 다닌다.

 

(출처: https://www.expatica.com/nl/lifestyle/holidays/sinterklaas-100660/)
(출처: https://www.discoveringbelgium.com/sinterklaas/)

 

신타클라스는 도우미들과 함께 네덜란드에 도착한다. 크램퍼스 (Krampus)와 검은 피터 (Zwarte Piet)가 그들이다.

* 본 포스팅에서 Krampus는 영어식 발음을 따름.

 

크램퍼스는 악마인데 이교도 민속에서 기원한 존재다. 큰 덩치에 뿔이 달렸고, 송곳니와 발굽이 있는 악마의 모습이다. (무섭게 생겨서 사진은 안 올린다.)

 

Zwarte Piet를 말 그대로 옮기면 검은 피터란 뜻으로 검은 피부에 붉은 입술을 가지고 있다. 전형적인 흑인의 모습인데 과거 흑인 무어족이나 에티오피아 노예가 검은 피터의 기원일 거라 여겨지고 있다. 현대에는 검은 피터의 모습이 인종차별적이다 해서 굴뚝을 다니다 검댕이가 뭍은 형식으로 변형되기도 한다. 일부 자료에서는 무서운 크램퍼스가 덜 무섭게 완화된 형태로 변화된 것이 검은 피터라고도 설명한다.

 

(출처: https://www.discoveringbelgium.com/sinterklaas/)
요즘은 이렇게 검댕이를 뭍힌 검은 피터로 바꿔지기도 한다. (작가: Ziko van Dijk, 출처: Wikimedia Commons)

 

벌보다는 선물을 주는 것에 치중하는 산타클로스와 달리, 신터클라스는 착한 아이들에게는 상을 주지만 나쁜 아이들에게는 벌을 준다. 이 벌은 크램퍼스가 맡는다. 나쁜 아이들에게는 신터클라스의 상 대신에 크램퍼스의 빗자루 매질이 도착하고, 심지어 잡혀서 스페인으로 끌려가기도 한다고... 무서워.

 

자료를 찾아보니 현대의 신터클라스 전통에서는 상을 주는 부분이 강조되고 벌을 주는 부분은 거의 사라진 듯하다.

 

 

Lotus Biscoff 로투스 비스코프 - 벨기에 비스킷

어디였는지 기억이 나지 않는데 커피와 함께 로투스 비스코프 (Lotus Biscoff, 영어식: 로터스 비스커프)가 나오는 곳이 있었다. 이 비스킷을 커피와 함께 먹으면서 맛있다 생각하곤 했었다. 하지만

thenorablog.tistory.com

 

반응형
인기글
최근글
최근댓글
달력
«   2025/0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